본문 바로가기
Health : 건강/근골격계

'종아리가 아파요' 비복근 파열(종아리 파열)의 증상과 원인 치료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by 당킴이TV 2020. 5. 7.

 

비복근 파열, 종아리 파열

안녕하세요 당킴이 TV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종아리 통증"과 관련된 질환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종아리가 아파요' 하는 분들은 무엇 때문에 나타나는지 궁금해하실 텐데요

 

사실은 쥐가 나거나 통증이 나타나는 이유는 허리 디스크에도 영향을 받을 수는 있지만

대부분은 종아리 근육이 갑작스럽게 수축을 하여 나타나는 피로현상입니다. 

일시적으로 종아리 근육이 통증이 있거나, 쥐가 나는 경우도 있겠지만

 

급성적으로 다리에 과도한 힘이 들어가거나 방향을 바꾸는 동작으로 인해 종아리 근육에 손상을 입는 경우

'비복근 파열(Gastrocnemius muscle rupture)' 이 생길 수 있게 됩니다. 

 


 

단어가 약간 생소할 수 있지만 차근차근 설명드려보겠습니다. 

 

 

 

먼저 우리 몸의 제2의 심장이라고 불리는 종아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봐야겠죠?

 

비복근

 

 

종아리는 크게 보자면 비복근과 가자미근으로 구성되어있는데 그중 바깥에 있는 비복근(gastrocnemius muscle)이라는 친구가 자주 수축하고, 뭉치는 녀석입니다.

 

 

족저, 족배 굴곡

 

비복근은 주로 발을 아래로 내리는 작용을 합니다.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족저 굴곡(plantar flexion)이라는 작용을 하며 비복근의 문제가 있을 시 걸을 때 발을 땅에 잘 디디지 못하고, 족저 굴곡뿐만 아니라 발을 위로 젖히는 족배굴곡(dorsiflexion) 작용도 하지 못하게 됩니다. 

 

 

 

비복근 파열의 원인은?

비복근 파열

 

비복근 파열이라는 질환은 다른 말로 테니스 레그(Tennis leg)라고도 불리는데 

그만큼 운동선수에게 다발하는 질환이고, 테니스, 축구, 육상 등 같이 방향 전환을 빨리 해야 하는 경우 

비복근의 과도한 수축으로 미세한 파열부터 심한 파열(완전 파열)까지 나타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꼭 운동선수에게만 나타날까?"

 

 

정답은? 아닙니다.

 

평소에 운동을 안 하거나, 운동을 하지만 스트레칭을 자주 안 하는 분이라면 

일상생활에서도 다발하게 되는데 

"높은 계단에 갑작스럽게 오르는 경우" "갑자기 뛰어갈 일이 생기는 경우" 등 있으며

제 환자 중에서는 자동차에서 내린 다음 계단 또는 블록을 오르면서 생기는 케이스도 있었습니다. 

 

 

비복근 파열의 증상은?

비복근

 

  • 처음 증상 발현했을 때 뚝 끊어지는 느낌이 생기면서 움직이지 못할 정도의 통증이 생긴다.
  • 첫 증상 발현하고 나서 종아리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
  • 걸을 때 통증이 있고 발을 디디지 못한다.
  • 종아리가 붓고, 피멍이 생긴다.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초기 치료는 R.I.C.E에 준하여 치료합니다.

 

R.I.C.E란? Rest, Ice, Compression, Elevation을 합친 용어로 초기 염증에 자주 쓰는 치료법입니다. 

 

Rest : 초기에는 일단 안정을 취해야 하고, 되도록이면 운동은 삼가야 합니다.

Ice : 증상 발생 후 적어도 3~5일 정도는 부위에 냉찜질을 해주고, 그 이후에는 온찜질로 근육을 풀어주는 것도 좋습니다.

Compression (압박) : 필요한 경우엔 압박 붕대를 시행할 수는 있지만, 경미한 경우엔 보조적으로 테이핑 처치를 통하여 손상부위를 안정시켜 주면 도움이 됩니다. 

Elevation : 근육이 파열되어 내부 출혈로 인하여 혈종이 생길 수 있는데, 다리 밑에 베개를 받쳐 올리고 있어야 부종 및 출혈이 생겨 고이지 않게 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손상 부위에 침 치료 및 봉약침 치료를 통하여

통증 감소 및 국소 부위 혈류 개선 및 근육 손상을 빠르게 회복시켜주어야 합니다. 

 

 

 

 예후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목발 사용을 할 수 있고 파열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4-6주 정도 치료를 하면 환자분들의 예후는 괜찮은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은 2주 정도 지나면 통증이 감소하여 그 이후부터 약간의 활동 및 운동이 가능하여 재활 운동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트레칭


 

통증이 다소 감소하고, 안정을 취한 이후에는 스트레칭을 겸할 수 있는데 

 

종아리 스트레칭

그림과 같은 판이나 블록 위 아니면 계단에서 윗 사진과 같이 근육을 스트레칭을 해줍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벽에 양 손을 짚고 아픈 종아리 쪽을 뒤로한 채 벽을 밀어주는 동작도 있습니다. 

https://learnmuscles.com/glossary/gastrocnemius-stretching/

 

Gastrocnemius – Stretching

Share This Tweet…

learnmuscles.com

요즘에는 종아리 스트레칭 기구가 워낙 많아져서 여기서 다 말씀드리기는 어려우나, 아래와 같은 보드에서도 스트레칭 가능합니다. 

종아리 스트레칭

 

위의 보드뿐만 아니라 폼롤러로도 가능한데요

폼롤러를 통하여 종아리 부위를 몸의 무게를 통해 압박하여 이완시키는 방법도 좋은 방법입니다.

 

폼롤러

 

추천 제품

https://bit.ly/3I9EOUF

 

트라택 EVA 폼롤러 자가 마사지 운동 소도구 원형

COUPANG

www.coupang.com

 

 

여기서 주의할 점은 꼭 스트레칭은 통증이 생기면 그만두어야 하며,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만 시행을 하셔야 합니다!!

 


제 글이 도움되셨나요?

비복근 파열이 생길 경우보다 전문적인 한의원이나, 병원에서 꼭 치료받길 바랍니다.

이 글로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량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음.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며, 도움이 되셨다면 하트 꾸욱 부탁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