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당킴이TV입니다.
오늘은 발 안쪽 뼈에 나타나는 통증인 '부주상골 증후군(Accessory navicular syndrome)'에 대해서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그럼 일단 잠시 부주상골에 대해서 얘기해볼까요?"
▶ 부주상골(Accessory navicular bone)이란?
발엔 여러 개의 뼈가 있지만 그중에서 발 내측에 위치한 주상골(navicular bone)이 있습니다.
발 내측에 초록색으로 표시된 부위가 주상골입니다.
하지만 주상골 옆에 없어도 되는 즉, 부수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뼈가 생기는 질환이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을 부+주상골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사진에서 보면 Navicular (주상골) 옆에 작은 뼈가 붙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원인과 증상
부주상골 증후군은 전 인구의 4~14% 정도 발생하며, 보통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 X-Ray를 촬영하다가 우연히 발견하게 됩니다.
성인보다는 유소년기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고, 청소년기 이전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다가 성장하면서
체중 및 활동이 증가하여 마찰, 외상, 과사용 등 여러 원인에 의해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발 내측 부위 (안쪽 복숭아뼈 밑에서 약간 앞쪽)에 볼록한 부분이 만져지고 그 부위가 더 볼록해지면서 통증이 나타나고 눌렀을 때도 통증이 발현하는 경우 부주상골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부주상골 증후군의 유형 (참고용)
부주상골 증후군은 유형이 제1형, 2형, 3형으로 나뉘는데
위에서부터 보시다시피 뼈가 점점 더 커지는 느낌이 드시죠?
- 제1형은 주상골과 결합이 없고 후경골근건 내부에 작은 뼈가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 제2형은 주상골과 부주상골 사이에 결합이 있는 경우로, 가장 흔하며 부주상골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 제3형은 주상골과 부주상골이 결합이 있는데 뼈가 붙어있는 즉, 골성 결합으로 구성되며 증상을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 치료 방법
부주상골 증후군은 한의학적 치료로 충분히 개선될 수 있으며,
수술하시기 전에 한방 치료를 먼저 시도해보고 수술하는 것도 늦지 않습니다.
치료 방법은 대표적으로 3가지를 말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봉약침 및 침 치료입니다.
부주상골 증후군으로 인하여 발 내측 부위로 나타나는 염증 및 통증을 봉약침을 투여함으로써 조절하고
침 치료를 통하여 통증 자체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제 환자 중에서도 부주상골 증후군으로 2주간 치료받아 수술하지 않고 호전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마지막 치료할 때쯤엔 일상생활에 불편함 없을 정도로만 통증이 남아있었습니다.
두 번째는 깔창입니다.
발 내측 궁을 들어 올릴 수 있는 깔창을 통하여 부주상골 증후군의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수술이 필요하지 않은 정도의 강도라면 내측 세로 궁을 지지해주는 신발 깔창을 권유드립니다.
세 번째는 후경골근 강화 운동입니다.
부주상골 증후군의 경우 평발과 함께
후경골근(tibialis posterior muscle)이라는 근육의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은데
사진에서 보시면 발 내측 부위로 후경골근이 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과 같이 밴드로 후경골근 강화 운동을 해주는 것도 좋으며 밴드가 없다면 집에 있는 긴 수건으로
팔로 당기면서 발은 내측 방향으로 힘을 주는 식으로 반복해서 운동을 하면 좋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되셨나요?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부주상골 증후군은 꼭 수술만이 아니라 한방 치료 즉, 보존적인 치료로 해결하는 것이 먼저입니다.
그럼 이상으로 포스팅 마치고
다음 글에서 뵙겠습니다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며, 도움이 되셨다면 하트 꾸욱 부탁드립니다♥
'Health : 건강 > 근골격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 및 팔에 통증 또는 저림 증상이 있을 때 : 흉곽출구증후군의 증상과 치료방법 (2) | 2020.06.09 |
---|---|
성장통으로 착각할 수 있는 무릎 통증 : 오스굿 슐라터 병의 치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0.06.06 |
손목 건초염(드퀘르벵 병) 증상 및 치료 방법 정리 : 꼭 수술해야 할까? (2) | 2020.05.20 |
뒤통수 아플 때, 뒤통수가 찌릿거린 증상 : 후두신경통 증상과 치료 총정리 (8) | 2020.05.16 |
목에 담 걸렸을 때 원인 및 해결 방법 (푸는 방법 총정리) (0) | 2020.05.12 |
댓글